자녀를 위한 마음은 모든 부모가 같을텐데요, 오늘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줄 때 잘 활용하면 좋을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이 글을 끝까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란?
먼저 알려드릴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증여세는 우리가 재산이 이전되는 경우 이전된 재산을 받는 사람이 내야 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경제적인 가치가 있는 물건 즉, 부동산이나 현금 등과 같은 경제적인 이익을 포함하여 증여할 때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이렇게 이전되는 재산은 증여받는 사람이 어떤 관계에 있느냐에 따라 면제 한도액이 아래와 같은데요, 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배우자는 6억원, 직계 존속은 5천만원으로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5천만원입니다.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
자녀에게 증여하는 재산이 5천만원이 넘을 경우에는 세금이 부과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것 처럼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10년에 5천만원 이내 재산이 이전될 경우에는 면제됩니다.
또한 혼인할 경우 증여 재산에 대한 공제 내용이 신설되었는데요 2023년 7월 발표된 공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바로 혼인에 따른 증여 재산은 각 집에서 1억원까지 증여재산이 공제되어 만약 각 부모가 혼인하는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각 1억원씩 2억원에 각 5천만원씩 총 3억원이 공제되는 것 입니다.
혼인 신고일로부터 2년 이내에 받은 금액이 공제되는 것으로 각 집에서 1억 5천만원씩 자녀에게 증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최근 결혼 및 저출산 문제로 인한 대안 방안으로써 꼭 신고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으나 원칙적으로는 증여세를 신고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따라서 정리하자면, 자녀에게 10년 주기로 5천만원까지 자녀 증여세 면제한도액이고 혼인하는 자녀에게는 1억원이 추가로 면제되는 것 입니다.
증여세 계산하기
증여를 통해 재산이 이전될 때 부과되는 증여세를 미리 계산해놓는다면, 좀 더 효율적으로 증여세를 생각할 수 있을 텐데요
보통 증여세를 계산하는 방법은 이전되는 재산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세율을 곱해주고 거기에서 공제되는 금액을 제외해주는 것 입니다.
📌 과세표준 X 세율 - 누진공제
그렇다면 증여세를 구하기 위해서는 증여세율을 알아야 하는데요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증여세율
위와 같이 단순하게 계산할 수 있지만 사실 면제한도액과 그 밖에 공제되는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에 국세청에서 제공되는 증여세 계산기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위 버튼을 클릭하시면 증여세 계산기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아래 빨간색 색인된 버튼을 클릭하시어 간편하게 증여세를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증여세 납부하기
증여가 이루어진 날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납부해야 하는 증여세는 어떤 재산이냐에 따라 증여가 이루어진 날인지 취득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부동산이라던지, 분양권, 그 밖의 재산 등 증여재산의 취득시기로부터 3개월 이내에 꼭 납부해야 하는 재산세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이 가산 세액이 붙을 수 있습니다.
댓글